// null 처리와 선택적 매개변수
// 중괄호 적으면 값을 넣어도 되고 안 넣어도 됨.
// 물음표를 붙이면 정수, null을 받을 수 있음
// 느낌표를 적으면 null이 안 들어간다고 알려주는 것
void add({int? n1, int? n2}) {
print("더하기 : ${n1! + n2!}");
}
void main() {
add(n1: 3);
}
// null 처리
String? username;
void main(){
if(username != null){
int len = username.length;
}else{
int len = null;
} // 이 코드를 아래 처럼 쓸 수 있음. 이 코드는 다트에서 쓸 수 없음
int? len = username?.length;
print(len);
}
// null 처리
String? username = "안녕";
void main() {
int? len = username?.length;
print(len);
}
// null 처리
String? username = "안녕";
// 느낌표를 붙이면 "야 이건 절대 null 아니야!"라고 알려줌, 꼭 필요할 때만 써라 !
void main() {
int? len = username!.length;
print(len);
}
// null 처리
String? username = null;
void main() {
String value = username ?? "ssar"; // ?? : null이면 ssar을 넣어줌
int len = value.length;
print(len);
}
// null 처리
// ? (null 인식 연산자)
// ?? (null 대체 연산자)
// !
// ?타입 = String?
String? username = null;
void main() {
int len = username?.length ?? 0;
print(len);
}
// null 처리
// ? (null 인식 연산자)
// ?? (null 대체 연산자)
// ! (null 부정 연산자)
// ?타입 = String?
String? username = "ssar";
void main() {
int len = username!.length;
print(len);
}
Share article